이인성 > 우리시대의작가들/회화

본문 바로가기

회화

Home > 작가와 미술현장 > 회화

    우리시대의작가들/회화

    이인성

    본문

    약력소개

    화가 이인성은 1982년 전남 해남 출생으로 조선대학교 미술대학(서양화 전공)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순수미술 석사과정을 마쳤다.

    그동안 개인전으로 나무심는 사람들’(2008, 온라인전-Studio Unit), ‘혼란 속 일상’(2009, 광주 조선대학교 미술관), ‘Agit’(2010, 서울 광주시립미술관 갤러리Light), ‘In Agit’(2011, 북경 798지구 Unit-1갤러리), ‘Hisdy’(2013, 광주 유스퀘어 금호갤러리), ‘()-설치전’(2013, 광주 미테우그로), ‘Hidden’(2013, 방콕 Artery), ‘상처의 재해석’(2015, 광주 수완병원갤러리), ‘상처의 재해석2’(2015, 광주 갤러리처음), ‘His·topia’(2017, 광주 갤러리 리채), ‘Two of Us’(2017, 광주 대인시장 다오라), ‘Vacant Ceed’(2018, 광주 슐츠&융갤러리), ‘낮과 밤’(2019, 순천 해지면열리는미술관), ‘무겁지고 가볍지도’(2020, 광주 신세계갤러리), ‘회화와 알레고리’(2020, 무안군오승우미술관), ‘Querencia’(2021, 광주 우제길미술관), ‘아이엠그라운드’(2021, 광주시립미술관 하정웅미술관), ‘어느날 문득’(2022, 서울 Space1326) 등의 작품전을 가졌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Momentaufnahme 베를린예술대학 교류전](2006, 독일 베를린), [가랑미술학회-‘방의 재구성’](2006, 광주 롯데화랑), [RGA 죽이는 4](2007, 광주 롯데갤러리), [순수정신](2007, 광주 대동갤러리), [3회 청년미술의 힘](2008, 서울 부남미술관), [미술과 일상의 즐거운 만남](2008, 광주 신세계갤러리), [Sale](2009,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우범지대](2009, 광주 우제길미술관), [Pop up](2010, 나주 동신대학교박물관), [21세기의 첫 10](2010,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한국·일본·싱가폴 교류전](2010, 국립광주박물관), [광주!북경! 북경!광주! 국제교류전](2011, 북경 A+A+아트센터), [북경질주](2012,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V-party](2012, 광주 쿤스트라운지], [Flat](2013, 서울 강남역아이파크), [행복연가](2015, 광주 롯데갤러리), [점핑](2014, 광주 리채갤러리), [옥상위의 정치](2014, 광주 미테우그로), [이상한 시선-이인성·B-Cone 2인전](2014, 필리핀 룩판 PSP), [아시아의 창, 문화의 창](2015,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풍류남도 만화방창](2015, 해남 행촌미술관), [이인성·성혜림 결혼전](2015, 광주시립미술관 아트라운지), [컨템포러리 아트인담양](2016, 담양 담빛예술창고), [야간산행](2018, 파주 아트스페이스 휴), [각자의 시선](2019,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산책](2019, 담양 담빛예술창고), [역사는 없다-위안부 피해자전](2019, 광주 무등현대미술관), [국제예술대학교장컵예술전](2019,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아젠다 하이웨이](2019, 광주 미로센터), [예술산책](2020, 담양 해동문화예술촌), [호연지기](2021, 광주 롯데갤러리), [한국청년작가전](2021, 홍콩 한국문화원), [다시 만난 사물](2021, 광주 신세계갤러리), [예술산책](2021, 담양 다미담예술구), [13회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MaytoDay’](2021, 광주 옛국군병원), [디어마이셀프](2022, 광주 예술공간 집), [Un-Limited Art Fair](2022, 광주 신세계갤러리), [담양아트위크-유유자적](2022, 담양 다미담예술구), [가을색, 일상인연](2022, 고양 아트스페이스KKI), [나아가는 내일](2023, 광주 미로센터), [아트광주23](2023,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풍류, 한국의 멋](2023, 베트남 국립미술박물관), [용이 여의주를 얻듯이](2024, 광주 신세계갤러리), [Spring Breeze](2024, 광주 수하갤러리), [도시와 도시조각](2024, 코가네스튜디오), [Shifting Gravity](2024, 욕자카르타 루앙 메스56), [아트광주24](2024,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청류탁세](2024,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파동: 울림의 시작](2025, 여수 카멜리아갤러리) 등의 전시에 출품하였다.

    광주시립미술관 양산동창작스튜디오(2010), 광주시립미술관 제3기 북경창작스튜디오(2011), 광주 미테우그로 레지던시(2013), 요코하마 코가네쵸바잘 2014레지던시(2014) 입주작가였고, 광주신세계미술제 대상(2016), 광주미술상(2019) 등을 수상하였다.



    작가의 작품세계

    작가가 바라본 다양한 삶의 현존(現存)은 실재적(實在的)이며 지극히 감정이입의 양상을 띤다. 은신처, 혹은 근거지의 의미로 해석되는 아지트(Agit)’는 외부와의 단절이란 속뜻과 함께 삶의 용이함을 위한 침잠으로도 읽혀진다. “좀처럼 공개되어지지 않는 삶의 일기장처럼 회화, 혹은 미술이라는 방식으로 일기를 만들어낸다는 작가의 주장을 염두에 두었을 때, 창작 자체가 작가에게는 사념의 기록이다. 화법은 다소 무심한 시점으로 일관하지만 현상을 바라보는 태도는 그 현상의 본질을 보려한다. 이미지와 기호, 혹은 이것이 허상임을 깨닫지 못하는 스펙터클의 현대사회에서 삶의 주체가 되지 못하고 표류하는 현대인의 의식세계를 작가 자신의 상황과 아울러 표현한다현대사회에서의 인간소외라는 다소 무거울 수 있는 문제의식이 작품 면면에 돋보이는데, 사회로부터의 단절에서 자아로부터 사회에의 단절이라는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보여주기도 한다나와 주변의 이야기를 작업을 통해, 동시대 속 개인의 모습을 자유롭게 풀어내고자 한다는 이인성의 다짐은 나와 타인의 심리적 유대감에서 비롯된 일종의 동일시(Identification)의 귀결일 것이다.”

    - 고영재 (광주 롯데갤러리 큐레이터), 2013 전시평문 중



    연락처

    광주광역시 남구 대남대로 340번길 9

    010-4624-1775

    hisdy@naver.com

    이인성 <숲>, 2015, 캔버스에 아크릴릭, 162x130cm 2폭
    이인성 <숲>, 2015, 캔버스에 아크릴릭, 162x130cm 2폭

    이인성 &lt;아버지의 목발&gt;, 2016, 캔버스에 아크릴릭
    이인성 <아버지의 목발>, 2016, 캔버스에 아크릴릭

    이인성 &lt;뗏목 위의 두 사람&gt;, 2017, 캔버스에 아크릴릭, 162x260cm
    이인성 <뗏목 위의 두 사람>, 2017, 캔버스에 아크릴릭, 162x260cm

    이인성 &lt;밤의 동굴&gt;, 2018, 캔버스에 아크릴릭
    이인성 <밤의 동굴>, 2018, 캔버스에 아크릴릭

    이인성 &lt;그라운드&gt;, 2021, 캔버스에 아크릴릭, 91x116.7cm
    이인성 <그라운드>, 2021, 캔버스에 아크릴릭, 91x116.7cm

    이인성 &lt;아이엠그라운드&gt;, 2021, 혼합재 설치
    이인성 <아이엠그라운드>, 2021, 혼합재 설치

    이인성 &lt;폭풍우치는 밤&gt;,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이인성 <폭풍우치는 밤>,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이인성 &lt;어느날 문득&gt;, 2023, 캔버스에 아크릴릭
    이인성 <어느날 문득>, 2023, 캔버스에 아크릴릭

    이인성 &lt;유령들&gt;, 2024, 캔버스에 아크릴릭, 90.9x72.7cm
    이인성 <유령들>, 2024, 캔버스에 아크릴릭, 90.9x72.7c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Copyright 2025 광주미술문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이미지들은 게시자와 협의없이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