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일정 > 우리시대의작가들 - 공예

본문 바로가기

공예

Home > 작가와 미술현장 > 공예

    우리시대의작가들 - 공예

    박일정

    본문

    약력소개

     

    도조와 설치를 병행하는 도예가 박일정은 목포대학교 미술학과에서 한국화를 전공하였다. 이후 도예로 전환하여 2006년 목포문화예술회관과 고흥 도화헌미술관에서 개인전 이후 2008년 대전 아트스페이스 놀이터, 2010년 살구 씨어물과 고흥 도화헌미술관, 2011년 살구 씨어물과 도화헌미술관, 2012년 서울 이형아트센터와 도화헌미술관, 2015년 광주 갤러리 생각상자(‘오래된 마을’), 2016(목포 전남도립도서관 남도화랑과 나무숲창작센터, 2017년 무안군오승우미술관(‘미시적 서사, 일상의 기록’), 서울 아트스페이스 퀄리아와 목포생활도자박물관(‘풀의 노래’), 2019년 고흥 도화헌미술관(레지던시 발표전 기나고동’) 등의 개인전을 가졌다.

    단체전은 [조국의 산하전](1996, 서울600년기념관], [전남청년작가전](1997, 광주 남도예술회관), [JALLA](1998, 2004, 동경 동경도미술관), [새로운 작가정신의 모색](2002, 목포문화예술회관), [목포 민미협 정기전-국도1호선](2003, 목포문화예술회관), [흙소리](2004 서울 경인미술관, 목포문화예술회관, 2005 서울 가나아트스페이스), [남도산하-영산강 월출산 다시보기](2004, 목포문화예술회관, 영암 달오름미술관), [야생화-낮은 꽃의 노래II](2005, 광주 신세계갤러리), [싹틈 사생전](2007, 목포문화예술회관), [2008광주비엔날레-복덕방프로젝트 홍어가게협업작가](2008, 광주 대인시장), [여수국제아트페스티벌](2008), [무안분청 일본전](2009, 후쿠오카 오이시갤러리), [창원아시아현대미술제](2009, 창원 성산아트홀), [레지던시 발표전](2010, 광주 무등현대미술관), [대반동전](2011, 목포 오거리다방), [생태놀이](2011, 함평 잠월미술관), [무안분청협회전](2012, 중국 하남성미술관), [에꼴드목포](2012, 목포대박물관), [움직이는 예술포차](2013, 목포), [햇살시장](2013, 파주 헤이리), [영산강 고대문화 산책](2014, 남도화랑), [에꼴드목포 북경교류전](2014, 북경 한국문화원), [무안분청 다스름](2014 광주 롯데갤러리, 2015 안양 롯데갤러리), [예술협동조합 나무숲 창립전](2015, 목포문화예술회관), [전남 레지던시 울울창창](2016, 목포문화예술회관), [민민어화](2016, 창작센터 나무숲), [한국 터키 교류전](2017, 터키 앙카라), [달이 빚은 도예](2017, 무안군오승우미술관), [모호한 경계](2018, 광주 남도향토음식박물관), [공재문화초대전](2018, 해남문화예술회관), [2018광주비엔날레-상상된 경계들](2018,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나무숲, 하이불종대 개관기념전](2019, 목포 갤러리나무) 등의 전시에 참여하였다.

    현재 예술협동조합 나무숲, 전남도자기협회, 무안분청협회, (Par) 회원이며, 무안에서 살구씨토방을 운영하고 있다.



    작가의 작품세계

    박일정 작가 그림을 눈여겨보면서 다른 작가들과 다른 동심적 상상력, 남도적 자연과 풍물을 동화적으로 엮을 줄 아는 소박스런 마음을 높이 산다. 그림재료는 특이하다. 처음에는 도자기에 열중하더니 도자 문향에 상투적으로 들어가는 문양 격식을 버리고 자기만의 그림을 새겨 넣기 시작한 것이다. 좀 더 그림을 회화적 평면으로 넓히기 위하여 도자기 흙을 밀가루 반죽처럼 두드리고 넓히고 질박한 도자의 재질감을 살리면서 새기고 덧붙이는 얇은 부조 형태 속에 채색 안료를 발라 구워낸 도화(陶畵)라는 새로운 그림 장르를 선보이고 있는 것이다. 종래의 도자 형태도 아니고 일반적 평면회화도 아니며, 격식화된 타일 그림도 아닌, 섞어 쓰는 퓨전화 된 형태이다. 굳이 전에도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박일정에게는 남도적 지역 특성이 잘 나타나 있다, 그의 도화에 나타난 갈색 톤은 갯벌 흙을 연상시키며 햇빛처럼 반작이는 흰빛도 물빛을 머금고 있는 것 같다.”

    - 원동석(미술평론), 2017 박일정 개인전 평문 중



    연락처

    전남 무안군 청계면 예술촌길 69-7 살구씨토방

    010-6622-1993

    ij7068@naver.com

    박일정 <오래된 풍경>, 2015
    박일정 <오래된 풍경>, 2015

    박일정 <오래된 풍경>, 2015
    박일정 <오래된 풍경>, 2015

    박일정 <무게의 가벼움>, 2017, 혼합재, 가변설치
    박일정 <무게의 가벼움>, 2017, 혼합재, 가변설치

    박일정 <나무풀>, 2017, 가변설치
    박일정 <나무풀>, 2017, 가변설치

    박일정, 2017
    박일정, 2017

    박일정. &lt;풀다리&gt;, 2017~18,  목재, 도자, 9m
    박일정. <풀다리>, 2017~18, 목재, 도자, 9m

    박일정 <기나고동>, 2019
    박일정 <기나고동>, 2019

    박일정 <기나고동>, 2019
    박일정 <기나고동>, 20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Copyright 2024 광주미술문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이미지들은 게시자와 협의없이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