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신윤주 > 우리시대의작가들 - 설치/영상/기타

본문 바로가기

설치/영상/기타

Home > 작가와 미술현장 > 설치/영상/기타

    우리시대의작가들 - 설치/영상/기타

    김신윤주

    본문

    약력소개

    조각보 잇기로 공감 연결 작업을 주로 하는 김신윤주는 광주 출생으로,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미술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사회학과(예술사회학 전공)를 수료하였다. 뉴욕에서 2012년부터 대중참여예술인 원하트 프로젝트 (One Heart Project)를 시작하였고, 뉴욕과 한국을 오가며 활동하다 근래에는 광주를 주요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개인전으로 떡갈나무 혁명을 꿈꾸다‘(2025, 광주 뽕뽕브릿지)로 조각보 설치작품을 선보였고, 주요 단체전으로는 [정오의 어둠](2016, 뉴욕 d’Arte 갤러리), [상처를 짓다](2019, 부산시청 로비), [생태조감도전](2020, 광주시립미술관 하정웅미술관), [사건으로서 장소](2022, 광주 오월미술관), [2022통영국제트리엔날레](2022, 통영 사량중학교체육관 등), [15회 광주비엔날레 광주파빌리온-무등 ; 고요한 긴장](2024, 광주시립미술관) 등 다수의 전시에 참여하였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ACT 국제 레지던시(2017)에 참여한 바 있다.

    또한 [Women Cross DMZ 프로젝트](2015), [5·18 37주년 기념 원하트 프로젝트](2017,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하나의 마음 함평기념비](2017, 함평 월야중학교 전교생 참여), [어셈블리5·18](2020, 온라인, 광주 5·18기록관 외벽), [일월의 빛 프로젝트](2021, 포항문화재단), [기후정의와 모두의 예술](2022, 광주 가톨릭평생교육원 브래디관), [37회 오월미술제-생물민주주의](2025, 은암미술관, 무등갤러리, 온라인 디지털연대 등) 등을 기획하기도 하였다.



    작가의 작품세계

    김신윤주 작가의 대표 프로젝트인 원 하트 프로젝트(One Heart Project)’는 참여자 각자의 마음을 표현한 천 조각을 하나로 이어 붙여 커다란 조각보로 연결하고 이를 기념비 형태로 설치하는 공공예술 작업이다. 작가의 프로젝트 결과물인 기념비적 설치 작품은 참여자 개인이 자신의 조각이 타인의 조각과 연결되는 것을 체감하고 사건으로서의 예술을 경험하게 한다.

    - 광주비엔날레 GB탐방 소개자료 중 (2025)



    연락처

    010-2288-3097

    김신윤주 <ONE HEART 1>, 2013~2020, 천 바느질, 30x12m
    김신윤주 <ONE HEART 1>, 2013~2020, 천 바느질, 30x12m

    김신윤주, 5·18전야제
    김신윤주, 5·18전야제 '광주시민이 만드는 하나의 마음' 퍼포먼스 조각보설치, 2017, 옛 전남도청 외벽

    김신윤주 &lt;하나의 마음 1&gt;, 2020, 기념비, 가변크기, 천, 실
    김신윤주 <하나의 마음 1>, 2020, 기념비, 가변크기, 천, 실

    김신윤주 &lt;공명&gt;, 2022, 기념비, 가변크기, 천, 실, 2022통영트리엔날레 (사량중학교체육관)
    김신윤주 <공명>, 2022, 기념비, 가변크기, 천, 실, 2022통영트리엔날레 (사량중학교체육관)

    김신윤주, 제15회 광주비엔날레  광주파빌리온
    김신윤주, 제15회 광주비엔날레 광주파빌리온 '무등: 고요한 긴장' 중 <떡갈나무 혁명을 꿈꾸다>, 2024.천, 실, 바늘. 광주시립미술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Copyright 2025 광주미술문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이미지들은 게시자와 협의없이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